BIOGRAPHY

JU KAI is a visual artist whose work transforms emotional structures into a visual language of points, lines, and planes. She regards emotion not as fleeting sensation but as a layered architecture—something that accumulates, shifts, and remains.
Rooted in fine art training in South Korea and informed by her studies in psychology in the United States, her practice bridges the intuitive and the analytical. Deeply influenced by Wassily Kandinsky’s theories, she interprets the point as the origin of emotion, the line as its movement, and the plane as its accumulation. These elements are not symbolic, but compositional: tools to trace the invisible rhythms of feeling in space and time.
JU KAI handcrafts thick paper of Hanji, traditional Korean paper made from layered Dak fiber, which she prepares herself. Onto this surface, she combines printmaking techniques with sculptural processes—scratching, carving, layering—to inscribe the residues of emotion as geometric impressions. Her process is both meditative and physical, oscillating between order and chance, silence and density.
Through repetitive acts of building and erasing, her work asks: how do we give form to what is intangible? And how does emotion leave a trace—on our bodies, in memory, and in material? By translating the ephemeral into structure, JU KAI’s practice offers a quiet reflection on what it means to feel, to hold, and to let go.
주가희는 ‘감정’을 삶의 본질적인 경험으로 바라보고, 이를 시각 언어로 풀어내는 시각 예술가다. 한국에서 예술적 기반을 다진 후, 미국에서 심리학을 공부하며 인간 내면에 대한 탐구를 확장해왔다. 그녀는 Wassily Kandinsky의 이론과 조형 철학으로부터 깊은 영향을 받았다. 그로 인해 비가시적인 감정이 구조화될 수 있는 ‘형태’임을 인식하게 되었다. 그녀의 작업에서 점은 감정의 근원, 선은 흐름, 면은 축적을 의미한다. 그것은 생성과 변화의 구조를 담아내는 매개로 작동하며, 내면적 진동을 촉각적이고 시공간적인 형태로 전환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녀는 직접 전통 한지 재료인 닥섬유를 여러 겹으로 쌓아 두꺼운 한지를 만든다. 그 위에 판화적 표현 방식과 조각적 요소를 결합하여 감정의 층위와 시간의 흔적을 기하학적 조형으로 새긴다.
질서와 우연, 직관과 분석 사이를 오가는 작업은 감정이 어떻게 구체화되고, 사라지며, 우리 삶의 일부로 남는지를 조형적으로 사유하는 예술적 여정이라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