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ST STATEMENT

Engrave emotions & over meaning 

My work explores emotion as a structural and spatial experience—something that is not only felt but shaped, accumulated, and embedded into the fabric of time and memory. I begin with the fundamental question: what form does emotion take, and how can it be made visible?
Drawing inspiration from Wassily Kandinsky’s theories of point, line, and plane, I use these elements to construct an emotional architecture. A point marks the origin of feeling, a line follows its trajectory, and a plane holds the weight of its duration. These elements are not metaphors, but a compositional grammar through which I trace the inner vibration of emotion.
My primary material is Hanji, traditional Korean paper that I craft myself from Dak fiber. I layer it into dense, thick sheets—treating paper not as a background, but as a central body. Onto this surface, I combine printmaking techniques and sculptural processes: carving, layering, and pressing to record the echoes of emotion. The concept of “layers” becomes a visual metaphor for how emotions are remembered, buried, and re-emerge.
My process moves between analytical structure and intuitive response. I work within geometry and order, yet allow for uncertainty and rupture. The result is a body of work that does not depict emotion directly, but builds a form where it once was—a trace of what passed through us and remains.Ultimately, my practice is a way of giving form to the invisible, and inviting viewers to see emotion not as ephemeral, but as something that leaves a tangible mark.
나는 감정을 인간 경험의 핵심 구조로 바라보고, 그것을 시각화하는 작업을 지속해오고 있다. 나의 작업은 감정의 본질에 대한 질문에서부터 출발했다. 점·선·면이라는 기본 시각 요소를 통해 감정의 흐름과 변화를 구성한다. 점은 감정의 시작되는 지점을, 선은 그 감정이 흘러가는 과정을, 면은 시간 속에 쌓인 감정의 무게를 나타낸다.

나의 표현 방식은 바실리 칸딘스키의 조형 철학에서 깊은 영향을 받았다. 그는 감정의 울림을 시각적 질서로 구조화했고, 나는 그의 생각을 오늘날의 맥락에서 재해석하며, 감정을 단순한 표현이 아닌 형태화할 수 있는 대상으로 바라보게 되었다.

나는 종이를 단순한 배경이 아닌, 작품의 핵심 재료로 사용한다. 전통 한지의 재료인 닥섬유를 여러겹으로 쌓아 두껍고 밀도 높은 종이를 만든 뒤, 그 위에 판화적 표현 방식과 조각 기법을 결합한다. 여러 층을 만들고, 파내고, 인쇄하는 과정을 반복하며, 감정의 흔적과 시간의 밀도를 시각적으로 기록한다. 이 ‘겹‘이라는 개념은 감정이 우리에게서 어떤 방식으로 기억 속에 쌓이고, 사라지며 다시 떠오르는지를 보여주는 중요한 구조다.

나의 작업은 감정에 대한 섬세한 관찰과 일정한 거리 두기 사이를 오간다. 감정은 늘 흐르고 변화하며 돌아오는 속성이 있기에, 나는 그 움직임을 기하학적인 구조 안에 정리하면서도, 때로는 직관적으로 받아들이는 방식을 함께 사용한다. 전통과 실험, 질서와 우연, 분석과 감성을 넘나드는 이 방식은 감정의 복잡함을 있는 그대로 바라보려는 나의 시선을 담고 있다. 결국, 내 작업은 감정이 어떻게 구체적인 모습이 되고, 사라졌다가 다시 우리 삶의 어딘가에 남는지를 탐색하는 과정이다. 보이지 않는 감정을 물질로 옮기고, 그것이 시간과 기억, 관계 속에서 어떤 흔적으로 남는지를 이야기하려 한다.